협업 도구/GIT

LF will be replaced by CRLF

ahue 2022. 6. 10. 22:31
728x90

md 파일을 작성하고 add를 할 때 위와 같은 경고문이 발생했다. 경고기 때문에 무시해도 되긴 할텐데 찜찜해서 LF가 뭔지, CRLF가 뭔지 정리해본다.

 

LF와 CRLF

둘 다 새로운 줄(New Line)으로 바꾸는 방식이다.

CRLF는 현재 커서를 줄 올림 없이 가장 앞으로 옮기는 동작, LF는 커서는 그 자리에 그대로 둔 상황에서 줄만 한 줄 올리는 동장이다. 인터넷에서 글을 쓰다보면 텍스트 작성 동작이 다른 경우가 있다. 어떤 것은 위로 가는 화살표를 눌렀을 때, 비슷한 위치로 한 줄만 올려주고, 어떤 것은 윗 줄의 가장 앞으로 옮겨간다. 이게 LF, CRLF의 차이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.

 

LF

커서는 제자리에 둔 채 줄 위치만 옮긴다(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감).

\n과 같다

Unix/Linux의 default 상태이다.

 

CRLF

옮겨간 줄의 가장 앞으로 커서를 이동한다.

\n\r과 같다.

Windows/Dos의 default 상태이다.

 

이처럼 OS의 default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Git에서 경고를 띄워주는 것이다.

 

해결방안

Git에서 LF를 CRLF로 바꾸고 싶다고 하니 내가 먼저 파일들을 CRLF로 바꾸는 게 편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. 매번 경고창을 띄우지 않아도 되도록!

cmd 창에서 

 

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

 

를 작성한다. *Windows 기준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