협업 도구/GIT

md 파일을 작성하고 add를 할 때 위와 같은 경고문이 발생했다. 경고기 때문에 무시해도 되긴 할텐데 찜찜해서 LF가 뭔지, CRLF가 뭔지 정리해본다. LF와 CRLF 둘 다 새로운 줄(New Line)으로 바꾸는 방식이다. CRLF는 현재 커서를 줄 올림 없이 가장 앞으로 옮기는 동작, LF는 커서는 그 자리에 그대로 둔 상황에서 줄만 한 줄 올리는 동장이다. 인터넷에서 글을 쓰다보면 텍스트 작성 동작이 다른 경우가 있다. 어떤 것은 위로 가는 화살표를 눌렀을 때, 비슷한 위치로 한 줄만 올려주고, 어떤 것은 윗 줄의 가장 앞으로 옮겨간다. 이게 LF, CRLF의 차이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. LF 커서는 제자리에 둔 채 줄 위치만 옮긴다(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감). \n과 같다 Unix/Linux의..
Notion에 써뒀던 글을 Github에 옮기려고 md 파일로 export 받았는데, 정작 업로드 하니 글은 보이지 않고 view raw라는 링크만 보였다. 링크를 클릭하면 파일이 다운로드 받아지는데, 나는 바로 볼 수 있는 것을 원했다. 다운받은 파일을 vscode로 열었더니 내용도 보이지 않는다. 메모장으로도 내용을 읽을 수 없었다. 해결 방법 알고보니, Notion에서 파일을 다운받을 때 잘못된 확장자를 입력했기 때문이었다. export 해서 파일을 저장할 때 이렇게 파일 형식이 지정되어 있지 않아 .md 확장자를 붙여줬었다. 그런데 md로 export 할 때 나오는 파일 확장자는 zip 파일이었다. 확장자를 zip으로 바꾸고 다시 다운 받으니 이렇게 다운받아진다. 압축 해제 하면 폴더 안에 md ..
Github은 파일 하나 당 용량을 100M 미만으로 지정하고 있다. 이번에 프로젝트를 끝내고 gitlab에 있는 레포리토리를 github으로 옮기려고 했는데, 파일 하나가 100M 이상이라고 reject가 떴다. 검색해보니 GIT LFS라고, github에도 100M 이상 파일을 올릴 수 있는 확장 프로그램이 있었지만, 이건 파일을 올리기 전에 미리 하는 예방 조치이고, 우리처럼 파일 업로드 후 여러 커밋을 진행한 다음에 할 수는 없는 모양이다. 파일을 지우더라도, 해당 파일을 업로드 했다는 커밋이 있으면 역시 안된다.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BFG가 있다. BFG는 100M 파일에 관련된 커밋까지 지워주는 도구이다. 사용 방법 https://rtyley.github.io/bfg-re..
ahue
'협업 도구/GIT' 카테고리의 글 목록